“전세 계약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부동산 들어가기 겁나는 당신!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전세 계약 과정 마스터하기’
이전 컨텐츠에서 전세 대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봤다면 전세 계약이 이루어지는 과정도 당연히 알아야 합니다. 전세 계약의 전체 과정을 모른다면 마치 앙꼬 없는 찐빵과도 같죠. 혹시 아직 ‘전세대출 과정의 모든 것’ 편을 보지 않았다면?! 이번 편에서 전세 계약 과정 마스터하고 전세 대출 과정도 마스터하세요
전세 계약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지만 알면 계약 하는 것도, 대출 받는 것도 두렵지 않아요! 부동산 가서도 기죽지 않고 당당하게 필요한 부분 이야기하고, 주도권을 내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전세 계약 프로세스를 정확히 알고 있기 때문이죠. 전세 대출을 받을 때와 받지 않을 때 약간의 차이가 있어 나눠서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전세 대출을 받는다면?
1. 부동산을 통해 전세자금대출이 가능한 매물 알아보기
- 현재 전세자금대출에 임대인의 동의는 필요 없지만, 계약서 작성 시 임대인의 거부로 계약 성사가 되지 않을 수 있음
- 전세 대출을 받는다면 임대차계약 사실 확인 부분 때문에 임대인이 알게 되는 시스템입니다.
2. 전셋집의 등기부등본과 건축물대장 서류 확인 & 금융기관 대출 사전상담으로 대출을받을 수 있는 매물인지 체크하기
- 혹시 전세금반환보증보험이 필요하다면 이 시기에 같이 문의하기
- 전세금반환보증을 한 보증기관과 전세 대출 보증서를 발급받은 보증기관과 다르다면 가입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음
3. 공인중개사를 통해 임대인과 필요한 협의하기
이 과정에서 꼭! 공인중개사와 중개보수비 및 지급시기도 조율 必
4. 임대차계약 체결(계약서 작성) 및 계약금 입금하기
5. 주민센터/공증사무소에서 확정일자 미리 받기
- 확정일자를 받아야 전세대출이 가능함
6. 미리 상담한 금융기관에서 대출 접수하기
- 필요 서류는 개인마다 상이
- 자세한 전세 대출 프로세스는 ‘전세대출 과정의 모든 것’ 편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7. 대출 승인을 받았다면, 이삿날 잔금 치르기 & 중개보수비 지급
- 전세 대출 채권 보전절차에 따라, 금융기관에서 임대인에게 바로 입금하거나 임차인에게 입금할 수 있음
- 전세 대출을 받는다면 금융기관에서 등기부등본과 건축물대장 서류를 마지막으로 체크하고 입금해주긴 하지만 걱정된다면 한 번 더 체크하기
- 약정이 따로 없다면, 중개보수비 지급시기는 통상 잔금일
8. 이삿날 전입신고하기
9. 금융기관에 등본 제출하기
전세 대출을 받지 않는다면?
1. 부동산을 통해 마음에 드는 매물 알아보기
2. 전셋집의 등기부등본과 건축물대장 서류 확인하기
3. 공인중개사를 통해 임대인과 필요한 협의하기
이 과정에서 꼭! 공인중개사와 중개보수비 및 지급시기도 조율 必
4. 임대차계약 체결(계약서 작성) 및 계약금 입금하기
5. 이삿날 등기부등본 마지막 체크 후, 잔금 치르기
6. 이삿날 전입신고하고, 확정일자 받기
- 온라인으로 전입신고(정부24)도 가능하고, 확정일자(인터넷등기소)도 받을 수 있어요. 단, 오후 3시 이후에 신청하면 처리기간이 다음날로 미뤄질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주민센터 방문을 추천드립니다.
전세 대출을 받지 않았을 땐 전세 계약 과정이 참 단순하죠? 그래도 전세 대출을 받더라도 조금만 더 신경쓰면 되니 꼭 계약 과정 마스터 하고 가세요!
먼저 이번 편을 읽은 분들을 위해, 전세대출 과정 마스터하러 가기(클릭) 로 가면 이번 편에 이어서 전세 대출 과정까지 알고 갈 수 있습니다